네트워크8 전송 계층 04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166c077e545b736 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폴을 학습한다. www.kocw.net -> 이전 학습에서 congestion control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며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TCP의 원리와 함께 네트워크 상황을 확인하고 통신을 이어가는 동작원리에 대해서 정리해보겠다. Congestion Control TCP 통신이 이뤄지는 과정을 간략히 표현하면 위의 사진처럼 특정한 입구에 액체을 부워서 원하는 출구까지 도달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중간에 많은 파이프라인(네트워크)을 거치며 만약 특.. 네트워크 2023. 12. 28. 전송 계층 03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166c077e545b736 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폴을 학습한다. www.kocw.net -> 이번에 배운 내용은 TCP의 flow control과 connection management이며, congestion control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다. TCP에서 중요한 기능 3가지를 뽑자면 ' RDT(reliable data tranfer), 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이다. 이 중 flow control은 매우 중요한 기능이지만, 그 동작원리는 매우 간단한 편이다. Flow .. 네트워크 2023. 12. 20. 전송 계층 02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166c077e545b736 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폴을 학습한다. www.kocw.net APP( HTTP ) Transport( TCP, UDP ) Network( ip ) Link( wifi , LTE , Ethernet ) Physical Transport의 RDT(Reliable Data Transfer)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와 구현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무엇인지에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 맞춰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Pipelined protocols을 채택하고.. 네트워크 2023. 12. 7. 전송 계층 01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166c077e545b736 RISS 시스템 점검 안내 www.kocw.net 지난 시간에 학습한 내용은 Transport의 하위 계층이 Unreliable 통신 환경에서 reliable한 통신을 기능하기 위해 패킷(데이터, 메세지)의 유실 또는 에러를 극복하려는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보았다. 패킷의 유실과 에러를 극복하기 위한 메커니즘 2가지 (1) for 패킷 에러 - 에러 탐지(checksum bit) / 피드백(ACKs , NAKs) / 재전송(Sender -> Receiver) / 시퀀스 번호(오류에 의한 중복 전송 or 필요에 의한 최.. 네트워크 2023. 11. 25. 애플리케이션계층 02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166c077e545b736 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폴을 학습한다. www.kocw.net APP( HTTP ) Transport( TCP, UDP ) Network( ip ) Link( wifi , LTE , Ethernet ) Physical 지난 시간부터 Transport 부분에 대해 학습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TCP/UDP이다. 두 프로토콜 모두 상위 계층인 APP에 서비스(기능)을 부여해주며, 공통적으로 2개의 서비스(기능)이 있다. < TCP/UDP 공통 서비스(기능) =.. 네트워크 2023. 7. 26. 애플리케이션계층 01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166c077e545b736 컴퓨터네트워크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폴을 학습한다.www.kocw.net 소켓(socket) 먼저 앞서 네트워크는 프로세서 간의 통신이라는 내용을 다시 생각하면서 시작한다. 즉, 클라이언트 프로세서와 서버 프로세서 간의 통신이고, 사용자나 개발자의 입장에서 집중할 것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이다. ( 이는 이미 구현된 내부 OS를 건들지 않으며, 알 수 없다는 점을 말한다. )APP( HTTP )Transport( TCP, UDP )Network( ip )Link( wifi , LTE , Ethernet ) Physical따라서 OS에 구현된 위와같은 각 프로세스에서 상황마다 필요한 네트워크 .. 네트워크 2023. 5. 6.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 02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166c077e545b736 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폴을 학습한다. www.kocw.net 패킷 교환(packet-switching) 비트의 묶음으로 이뤄진 정보인 패킷은 요청시 라우터에서 다음 목적지로 전달되는 방식이지만, 물이 흐르듯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전부 처리되어 다음 단계로 하나의 패킷이 온전히 넘어가야 패킷스위칭이 진행된다. (즉, 패킷은 항상 한개의 묶음으로 움직인다.) applications network APP( HTTP ) Transport( TCP, UDP ) N.. 네트워크 2023. 4. 29.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 01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166c077e545b736 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폴을 학습한다. www.kocw.net 네트워크의 구성 네트워크는 크게 'edge' , 'core', 'access' 부분으로 나눠진다. network edge = 수 많은 어플리케이션이나 host(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부분에 해당하는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해당한다. 흔한 pc나 스마트폰, 사내 서버와 같이 일상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부분과 접하는 네트워크 영역입니다. network core =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앙 부분에 해당하며, 많은 라우터가 엮여서 정보.. 네트워크 2023. 4. 27. 이전 1 다음